정월 초하루는 과거에 '세수(岁首) , 원일(元日), 원삭(元朔), 정단(正旦)' 등으로 불렀으며, 음력 한 해의 새로운 시작이다. 이날은 새해 경축일 중에서 가장 성대한 하루이며, 아침 일찍 문을 열고 '새해맞이' 포문을 연 뒤 집집마다 새해맞이의 서막을 열었다. 모두들 서로 새해 인사를 하며 새해의 아름다운 축원을 표했다.
춘절(春节)은 속칭 '년(年)' 이다. '년'의 갑골문자 작법은 매우 형상화되어 있으며, 매우 간단한 두 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곡식(禾)이고 하나는 사람(人)이다. 벼가 위에, 사람이 아래 있는 형태다. '설문해자' 에서는 "년은 곡식이 익는다" 하였는데, 이로 보아 선민들은 곡물 수확을 해(년)를 세는 기준으로 삼았다.
춘절의 경축행사는 삼황오제의 납제(腊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내려오고 있으며, 이후 역대 경축행사의 새로운 실천은 역법에 따라 달라졌다.
서주 시대에는 이미 후대의 새해 맞이 주요 내용을 가지고 있었는데, 바로 제사, 축하인사, 축수 등이 있다. 진나라에서 서한전기까지, 세수는 10월 초하루로 정해졌고, 후대에 '진세수' 또는 '시월조'라고 불렀다.
한 무제 태초원년(기원전 104년)에 '태초력)'을 반포하면서부터 신년은 하력 정월 초하루로 정해졌고, 그 후 대대로 이어졌다.
신해혁명 이후 전통적인 왕조기년 방식을 바꿔 음력과 양력을 병행하면서 양력 1월 1일을 원단(元旦으로, 음력 정월 초하루는 춘절(春节)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