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절 대표음식, 월병

2023-09-25

중국 중추절은 음력 8월 보름이다. 중국에서 추석에 월병(月饼)을 먹는다. 월병은 만들기가 힘들어 가게에서 사먹는 게 일상화되었다. 월병은 둥근 달의 모양을 상징해 만든 일종의 빵이다. 중국 남송시대부터 전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시간만큼 지역마다 제작 방식이 다르다. 광활한 중국의 각 지역 특색이 묻어나는 추석 간식인 셈이다.

중국의 월병은 크게 4가지 종류가 있다. 광식(广式)광동지역 가장 널리 알려진 월병; 경식(京式)베이징지역 대표적 한족 월병;소식(苏式)상하이,절강지역 단맛과 짠맛으로 구분된다; 전식(滇式)운남지역 속이 햄으로 채워진 월병이다.

광식 월병은 쉽데 깨지지 않고 휴대가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피는 얇고 말랑말랑하며,속은 견과류,고기류로 채워지지만 90년대부터는 과일이나 야채 종류도 개발됐다. 광저우 연향로 월병이 가장 유명하다.

경식 월병은 중국 북방 지역의 대표적인 월병이다.광식에 비해 섬세함이 낮지만 맛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피와 속의 비율은 4:6정도다. 베이징이 수도였던 만큼 궁중 요리로 알려지며, 재료 선별이 엄격하다. 고급 월병일수록 특정 지역에서 특정 시기에 수확된 대추를 사용한다.

소식 월병은 맛으로 구분하자면 단맛과 짠맛 두 가지가 있다. 단맛은 어떤 종류의 월병보다 당도가 높으며,짠맛은 절여 말린 돼지고기를 사용한다. 소식 월병의 역사는 당나라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때문에 공장식보단 수제 작업으로 만들어진다.

전식 월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중국식 햄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돼지다리를 소금에 절여 불에 그을린 다음 월병 속을 채운다. 햄과 꿀,흰 설탕을 섞어 만드는 방식, 맛은 짠맛과 어루러져 있다고 한다. 전쟁 중에 거처를 옮기던 어린 황제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 월병의 유래이야기, 호병에서 월병으로 

8월 15일 중추절 이날의 주 음식은 역시 월병(月饼)이다. 월병은 궁병 (宫饼)、단월병 (团圆饼)、 월단(月团) 등으로도 불리우며, 그와 관련된 이야기는 적지 않다.

당나라 고조 이윤 시절, 대장 이정(李靖)을 시켜 흉노를 정벌하라 했다. 리정은 싸움마다 이기며 흉노를 평정했다. 그리고 다시 조정으로 돌아가 고조를 알현한 날이 공교롭게도 8월 15일이었다. 그날 토번 상인 역시 당 고조에게 호병(胡饼)을 바쳤는데, 고조가 먹어보고 매우 좋아했으며, 달을 보며 감격해 "동그란 호병이 마침 동그란 달을 만났구나(应将胡饼邀蟾蜍)" 라 말했다.   그리고 대신들에게 하사하여 맛을 보게하였다. 후에 대신들은 당고조의 이 말에 따라, 호병을 월병이라 불렀으며, 이것이 월병 풍습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월병이 역사를 살펴보면, 그보다 이른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사료 기재에 따르면, 은, 주시기에 절강 일대에 태사 문중(太师闻仲)을 기념하기 위한 태사병 (太师饼)이 있었으며, 이것이 월병의 시조라고도 한다.  한나라 장건(张骞)이 서역으로 사절을 나간 후에, 깨와 호두 등을 중국으로 가져왔으며, 이것이 부재료가 되어 동그란 형태의 호병이 나왔다.

당나라 시기에 이르러, 호병이 월병으로 개명되었다고 한다. 당시 거리 곳곳에서 호병을 파는 노점들이 많이 샜겼다. 어느 해, 당 현종과 양귀비가 중추 달 감상을 하며, 호병을 먹을 때, 당 현종은 호병이란 명칭이 그닥 좋지 않다고 생각했으며, 양귀비가 달빛을 보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얻어 월병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후 월병의 명칭은 고적에도 발견이 된다. 북송 소동파의 시구 중에 "小饼如嚼月,中有酥和怡"이 있다.

명나라 전여성 <서호유람기(田汝成 西湖游览记)> 에는 "8월 15일을 중추로, 민간에서 월병을 서로 보내며, 단원의 의미를 가진다"라 기재되어 있다.

청나라 시절에는  월병이란 제목의 시,기계악의 <월병 (祁启萼 月饼) > 시도 등장한다.

그외 청나라 시기에 거대한 월병산도 출현하였다. 청나라 건청궁에서 달제사를 위한 월병산은 높이가 수십층에 달하였으며, 황제가 제사를 지낸 후에, 커다란 월병을 잘라 왕공대신, 후궁, 공주들에게 나누었다고 기재되어 있다.

北京旅游网原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