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역사건축여행 9: 중법대학 옛터 中法大学旧址— 베이징대학 홍루 北大红楼— 쓰허수위안 四合书院— 베이징대 2원터 北大二院旧址— 지안숴줘 골목 吉安所左巷
노선구역:둥청구
노선거리:2.3km
추천이유: 역사건축 속의 붉은 한 줄기를 느껴본다, 역사적인 골목 속에 숨겨진 홍색혁명옛터를 보고, 혁명 이야기를 들으며, 그 속의 인물들을 느껴본다, 중법대학 옛터에서부터 베이징대학 홍루, 사합서원 등을 거쳐, 베이징 성의 혁명 흔적을 더듬어 본다, 이노선은 산책이나 자전거에 적합하다.
특색체험 및 주변추천:경산공원(景山公园)、자금성시성원(紫金城市书院)、싼렌타오펀 서점(三联韬奋书店)
1. 중법대학 터 中法大学旧址
중법대학 터는 베이징 동성구에 위치하며, 1923년 샤오밍을 서기로 하는 중공중법대학 지부가 설립되었으며, 중국공산당 조기활동지의 하나이기도 하다. 중법대학의 전신은 민국 초기 채원배 등이 발기하여 조직한 프랑스유학 근로학회가 설립한 유학 준비학교다. 이곳에서 애국주의 정서와 진보적 사상을 가진 학생들이 배출되었다.
주소:北京市东城区五四大街29号 中法大学旧址
2. 베이징대학 홍루 北大红楼
베이징대학 홍루(北京大学红楼)는 1916년에 착공, 1918년에 완공되었으며 벽돌과 목조건축으로 평면은 工자형이다. 현재 중국 공산당 초기 베이징 혁명 활동 기념관이다.베이징대 홍루는 중국 근대사에서 리다자오·천두슈·마오쩌둥이 최초로 마르크스주의와 민주과학 진보사상을 전파한 중요한 장소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
2021년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맞아 베이징대학 홍루가 새롭게 전시돼 문을 열었다. 베이징대 홍루에는 주로 교장사무실, 도서관 주임실, 등록실, 5·4운동 준비실, 문과 학장실, 대강의실, 제2열람실이 있다. 또한 《신청년》지 등 역사적인 전시품들이 전시되어있다. 이곳은 신문화운동의 중심지이자 5·4운동의 발원지이며, 중국공산당의 베이징 초기 조직도 이곳에서 탄생하였다.
주소:北京市东城区五四大街29号 北大红楼
3. 사합서원 四合书院
사합서원(四合书院)은 골목 깊은 곳에 자리한 전통문화교육기관으로, 골목 속에 '인문교육 공간'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사합원에서 조직된 맞춤 교육 과정, 강의 살롱, 독서회, 단거리 행각 등의 형식을 통해 자신을 돕고, 더 많은 사람들을 돕고, 옛 베이징의 문화를 이해하고, 중국 전통 인문 정신의 뿌리를 이해한다.
주소:北京市东城区中老胡同28号 四合书院
4. 베이징대학 2원 옛터 北大二院旧址
베이징대학 2원 옛터 (北大二院旧址, 원 北大数学系楼)는 동성구 사탄후가 거리의 원래 경사대학당 원내에 위치한다. 건물은 1904년에 처음 지어지고, 전목 구조에, 높이는 2층이다.
1919년 등중하·황일규·허덕형 등이 이곳에서 베이징대학 평민교육강연단을 결성하였고, 이대소·진독수 등 창당 선구자들이 이곳에서 강의하였다. 베이징대학 마르크스학설연구회는 이곳에서 노동절 경축 등 혁명행사를 열었으며, 베이징 사회주의청년단 등 초기 조직들의 중요한 활동지이기도 했다.
주소:北京市东城区沙滩后街55号院 北大二院旧址
5. 지안숴줘샹 吉安所左巷
모택동 베이징 제1차 거주지 터 (毛泽东第一次来京居住地旧址)는 동성구 지안숴줘샹 골목에 위치한다. 이곳 원락은 북방 3칸, 동서 곁방 각 1칸, 동방 2칸 규모로, 대지 면적은 100 평방미터였다.
모택동이 1918년 8월 19일에 베이징에 와서 1919년 3월 12일 모친이 병세 위중으로 호남으로 돌아가기까지, 약 8개월 간 거주했던 곳이다.
베이징에 처음 와서, 모택동은 양창제(杨昌济) 집에서 함께 살다가, 얼마 안 가, 기타 베이징에 온 신민학회 회원들과의 연락을 편하게 하기 위해, 양창제의 도움으로, 모택동과 채해삼(蔡和森)、소자승( 萧子升)、 진소휴(陈绍休)、 진혼보(陈焜甫)、 라장룡(罗章龙)、라학찬(罗学瓒)、 오양옥산(欧阳玉山)과 함께 길안동협도 7호(현 吉安所左巷8号)를 임대하였으며, 이곳 주택의 3칸 북방에서 6-7개월을 거주했다.
기간, 모택동은 주로 3가지 활동에 종사했다. 하나는 프랑스 유학 근로학회, 둘째 구국의 길 탐색, 셋째는 혁명 역랑 연락이었다
주소:北京市东城区 吉安所左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