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은 신문화운동의 중심이며, 오사운동의 발상지, 마르크스주의 중국조기전파의 주둔지, 중국공산당의 주요 배양지의 하나로, 베이징 홍루를 대표로 하는 중국공산당 조기 베이징 혁명활동 옛터(中国共产党早期北京革命活动旧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옛 터들은 주로 1915년부터 1923년 기간, 베이징 지구와 중국 공산당 창건 활동 유관의 중요 회의 장소, 중대 역사 사건 발생지, 중요인물 생가 및 중점 기념시설 등 31곳을 포함한다.
[동성구]
* 중산공원 내금우헌 中山公园来今雨轩
내금우헌은 동성구 중산공원 (中山公园) 내에 위치하며, 1915년에 처음 건설되었고, 건축 면적은 549.4㎡다.
1920년대 전후, 이곳은 중국공산당 조기 베이징 혁명활동의 중요 장소 중 하나였다.
1919년 7월 소년중국학회 성립 후에, 이대쇠 (李大钊), 주은래(周恩来), 등중하(邓中夏), 고군우(高君宇) 등이 여러 차례 래금우헌에 와서 학회 모임, 좌당회에 참석하여, 정치 주장을 밝혔다.
1920년 베이징대학 마르크스 학설연구소 성립 후에, 이대쇠는 이곳에 여러 차례 와서, 마르크스 주의를 선전했다.
1988년, 중산공원은 제3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내금우헌에는 "소년중국학회 테마전 (少年中国学会专题展)", "문자연구회 테마전"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 东城区中山公园内
* 베이징혁명 유적, 신청년 편집부 유적 (진독수 옛집)
<신청년 (新青年)> 편집부 유적 (진독수 옛집 陈独秀旧居)은 동성구 북지자대가 전간골목 20호에 위치한다.
북방 3칸, 남방 3칸, 입구 길가쪽에 작은 방 1칸이 있다.
1917년, 진독수가 베이징 대학 문과학장으로 초대되었을 때, 이곳을 임대하고, <신청년> 편집주가 상하이에서 이곳으로 이전해 왔다.
진독수, 이대쇠, 호적, 천현동, 유반농, 고일함, 심윤묵 등이 이곳에서 <신청년> 편집을 맡았다.
이곳은 신문화동둥의 주 근거지 중 하나로, 마르크스 주의 중국 초기 전파의 중요 장소였다.
1920년 2월, 진독수가 북양 군벌 정부의 박해를 피해, 베이징을 떠나 상하이로 가면서, <신청년> 편집부도 함께 이전하였다.
2001년, 진독수 옛집은 베이징시 제6차 시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현재, 재부에는 "역사상의 <신청년> 테마전람 (历史上的《新青年》专题展)"과 "진독수 베이징 테마전람 (陈独秀在北京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 东城区北池子大街箭杆胡同20号(旧门牌是箭杆胡同9号)
* 중법대학 유적 中法大学旧址
중법대학 유적 (中法大学旧址)은 동성구 동황성근북가 갑20호에 위치하며, 회색 서양식 3층 건물, 2층 강당, 중국식 건축들로 조성되어 있다.
중법대학의 전신은 민국 초기 채원배 등이 발기 조직한 프랑스유학 근로장학회의 법문 유학 예비학교 (法文预备学校)였으며, 1920년에 중법대학 서산학당으로 개방하였고, 원래 학교의 자리를 서산 벽운사 (西山碧云寺) 였다.
1925년, 문과가 이곳으로 이전해오면서, 중법대학 푸얼더 학원 (中法大学福尔德学院)으로 개명했다.
중법대학은 중국 공산당 초기 활동지의 하나였다.
1922년, 소명(肖明)을 서기로 하는 중공 서산 지부가 건립되었다. 1923년, 소명을 서기로 하는 중공 중법대학 지부가 건립되었다. 같은 해, 진의(陈毅)가 중법대학에 들어왔으며, 단원에서 당원으로 전환되었다. 1924-25년, 진의가 중법대학 당지부 서기를 맡았다.
1984년, 중법대학 유적은 베이징시 제3차 시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현재, "마르크스주의 중국초기 전파 테마전람 (马克思主义在中国早期传播专题展)과 "마르크스 주의 중국화의 역사 테마전 (马克思主义中国化的光辉历程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 东城区东皇城根北街甲 20 号
* 북대 2원 유적 北大二院旧址
베이징대학 2원 유적 (北大二院旧址, 원 北大数学系楼)은 동성구 사탄후가 55,59호 일대의 원래 경사대학당 원내에 위치한다. 건물은 1904년에 처음 지어지고, 전목 구조에, 높이는 2층이다.
이곳은 일찍이 중국 근대 최초 국립종합성 고등학부 경사대학당 (京师大学堂)의 중요 조성부분으로, 1919년에 베이징대학 제2원 교학동으로 개명되었으며, 이대쇠, 진독수가 이곳에서 강의를 했었다.
1919년 3월, 청년 마오쩌뚱이 이곳 16 교실에서 이대쇠의 강의를 듣기도 했다. 1920년 5월, 베이징대학 마르크스 사학설 연구소가 이곳에서 5.1 노동절 경축 등의 혁명 활동을 거행했으며, 이곳은 베이징 사회주의 청년단 등 초기 조직의 중요 활동지이기도 했다.
현재, 건물 내부에는 "중국 공산당 초기 베이징 조직 테마전람 (伟大开篇——中国共产党早期北京组织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 东城区沙滩后街55、59 号
* 캉무이 자이 옛터 亢慕义斋
'캉무이 자이 (亢慕义斋)' 옛 터는 동성구 사탄후가 55에 위치한다. 원래 베이징대학 제이원 서재 기숙사였다.
1920년, 이대쇠, 정중하 등이 발기 설립한 베이징대학 마르크스 연구회 이후에, 교장 채원배가 지출하여, 서재 2칸의 방을 연구회에 활동 장소로 주었으며, 한쪽은 사무실을 삼고, 다른 한쪽은 도서실로 삼았다. 도서실 이름은 캉무이자이 (亢慕义斋) 로 지었는데, 영문 "Communism (공산주의)" 에서 발음을 따온 것이었다.
마르크스 학설 연구회는 정기적으로 이곳에서 토론, 강연회를 개최하였으며, 마르크스 주의 서적 독서를 하였다.
'캉무이자이'는 중국어, 영어, 독일어 등 각종 문자의 마르크스주의 문헌 및 간행잡지 수백 종을 모아 놓았었다.
주소 : 东城区 沙滩后街55号院
* 베이징대학 1원 운동장 터 北大一院操场旧址
베이징대학 제1원 운동장 터 (北大一院操场旧址)은 원래 베이징 대학 홍루 북측의 운동장으로, 동성구 북하연대가 갑 83호에 위치한다.
오사운동(五四运动) 발발 당일, 베이징 대학 시위행렬이 이곳에서 출발했다. 그후 이곳은 애국청년학생의 집회, 활동의 중요한 장소가 되었으며, 삼일팔 운동(三一八运动), 일이구 운동(一二九运动) 등 학생애국 운동 중에도, 베이징 대학 시위대가 모두 이곳에서 출발했다.
주소 : 东城区北河沿大街甲 83 号。
* 양창지 옛집 杨昌济故居
양창제 생가는 동성구에 위치한다.
1918년 6월, 양창제는 베이징대학 교수로 임용되면서, 가족들과 함께 호남에서 이곳으로 이사 왔다. 집은 양진 원락 형태, 남향 건축으로, 전원은 남북방 각 3칸이 있고, 후원은 북방 4칸이 있으며, 대지 면적은 약 360 평방미터였다.
같은 해 8월, 모택동이 호남 청년 프랑스 유학 근로학회를 만들며, 양창제가 선생으로 초청되어 호남에서 처음 베이징에 와 이곳에서 거주했으며, 채화삼 (蔡和森)과 함께 남쪽방 대문 근처 방에서 거주했다. 얼마 안 가, 베이징으로 온 신민학회 회원 거주지가 분산되어, 활동 전개가 불편하였기에, 길한소좌항8호 (吉安所左巷 8 号)로 옮겼다.
주소 东城区豆腐池胡同 15 号(원 9 号)
* 모택동 제1차 베이징 거주지 터 毛泽东第一次来京居住地旧址
모택동 베이징 제1차 거주지 터 (毛泽东第一次来京居住地旧址)는 동성구 에 위치한다. 이곳 원락은 북방 3칸, 동서 곁방 각 1칸, 동방 2칸 규모로, 대지 면적은 100 평방미터였다.
모택동이 1918년 8월 19일에 베이징에 와서 1919년 3월 12일 모친이 병세 위중으로 호남으로 돌아가기 까지, 약 8개월 간 거주했던 곳이다.
베이징에 처음 와서, 모택동은 양창제 집에서 함께 살다가, 얼마 안가, 기타 베이징에 온 신민학회 회원들과의 연락을 편하게 하기 위해, 양창제의 도움으로, 모택동과 채해삼(蔡和森)、소자승( 萧子升)、 진소휴(陈绍休)、 진혼보(陈焜甫)、 라장룡(罗章龙)、라학찬(罗学瓒)、 오양옥산(欧阳玉山)과 함께 길안동협도 7호를 임대하였으며, 이곳 주택의 3칸 북방에서 6-7개월을 거주했다.
기간, 모택동은 주로 3가지 활동에 종사했다. 하나는 프랑스 유학 근로학회, 둘째 구국의 길 탐색, 셋째는 혁명 역랑 연락이었다.
주소 : 东城区景山东街三眼井胡同吉安所左巷 8 号
* 조가루 유적 赵家楼遗址
자오쟈러우 유적(赵家楼遗址)은 동성구에 위치한다. 원래 명나라 목종(明穆宗) 융경시기 문연각 대학사 조정길(文渊阁大学 赵贞吉)의 저택이었기에 조가루(赵家楼)라 불렸으며, 오사운동 시기, 차오루린(曹汝霖)의 주택이었다.
1919년 5월 4일 오후, 파리협약 체결을 반대하기 위해, 베이징대학, 베이징 고등사범학교, 중국대학 등 3000여 명의 학생들이 '칭다오 반환', '산동 주권 회수', '21조 취소' 등의 구호를 부르며 천안문 앞에 집결하여, 집회를 열었다.
집회 후에, 학생들은 시위 행진을 하였으며, 친일파 북양정부 교통총장 차오루린(曹汝霖), 화폐제도국 총재 루종위(陆宗舆)와 주 일본 공사 장종샹(章宗祥)의 처벌을 요구하였다. 시위 행렬이 동교민항 대사관 구역에서 막혔으며, 성난 시위대가 차오루린의 저택을 불 질렀는데, 역사에서 이를 "조가루 방화 火烧赵家楼"라 부른다.
옛 주택은 전부 철거되었으며, 유적터 위에는 새로이 조가루 식당(赵家楼饭店)이 들어섰다.
주소 :东城区前赵家楼胡同 1 号
* 베이징대학 평민교육강연단 강연지 유적 北大平民教育讲演团演讲地遗址
베이징대학 평민교육강연단 강연지 유적은 동성구 동편문 내, 호성하 남하연에 위치한다. 원래 '호국태평반도궁(护国太平蟠桃宫)' 이란 이름의 반도궁 자리였으며, 명나라 시기에 건설된, 베이징 유명 도관의 하나였다.
1919년 3월 23일, 베이징대 학생 등중하(邓中夏), 황일규(黄日葵), 허덕형(许德珩) 등이 베이징대학 평민교육강연단(北京大学平民教育讲演团)을 발기 설립하고, 반도궁에 고정 강연장소를 마련하였으며, 현장 강연으로 민중을 깨우쳐, 민주과학과 교육구국의 이념을 선전하였다.
1987년 동편문 입수교 건설로 인해, 반도궁은 철거되었다. 원래 반도궁 왕모전 앞의 '호국태평궁비(护国太平宫碑)' 가 문화재로 입수료 남측 녹지로 옮겨져 보호되고 있다.
주소 : 东城区东便门内、护城河南河沿
*이대쇠 체포지 유적 李大钊被捕地遗址
리다자오 체포지 유적은 동성구 동교민항에 위치하며, 북양 정권 시기, 이곳은 원래 러시아 병영으로, 후에 소련대사관이 이곳을 민간 주택으로 개조하여 임대하였다. 대지 면적은 약 3만 평방미터, 200여 개 방이 있었으며,이 건축은 이미 철거되었다.
1926년, 삼일팔 학살(三一八惨案) 후에, 이대쇠는 중공북방구위 기관, 국민당 베이징 특별시당부를 이끌고 잠시 이곳으로 도망쳐왔다.
1927년 4월, 봉계군벌 장자림(张作霖)의 명령으로 군경들이 베이징에서 공산당원 및 기타 혁명가들을 마구잡이로 체포하였다.
4월 6일, 이대쇠는 이곳에서 체포되었으며, 4월 28일, 숨을 거두었다.
주소 : 东城区东交民巷 29、31 号
* 향도 주간지 사무실 터 《向导》周报办公地旧址
<샹다오 (向导)> 주간지 사무지 옛 터는 동성구 중로 골목에 위치한다.
1922년 9월 13일, <샹다오> 주간지는 상하이에서 간행하였으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첫 정치 기관 신문이었다.
신문은 주로 시사 정치 평론 문장을 다루었으며, 당의 강령, 노선, 방침, 정책을 선전하며, 군중 투쟁을 지휘하는 주요 임무를 가졌다.
1922년 10월, 중공중앙이 베이징으로 이전하면서 함께 사무실을 이곳으로 옮겼으며, 1923년 3월 상순에 베이징을 떠났다.
주소 : 东城区中老胡同(原 中老胡同 1 号)。
[서성구]
* 도연정 자비암 陶然亭慈悲庵
도연정 자비암은 서성구 도연정 공원 (陶然亭公园)내에 위치한다. 원나라 시기 처음 건설되고, 여러차례 보수되었다. 대지면적은 2469.25㎡, 건축면적은 860.43㎡다.
자비암은 중국공산당 창건 시기 선진 지식분자들이 베이징에서 은밀히 활동을 전개한 장소의 하나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 소년중국학회 회원 진우생 (陈愚生)이 묘를 지키며 이름을 지었으며, 이곳 두 칸의 남실을 빌려 당의 비밀활동 장소로 사용하였다.
1920년 1월 18일, 모택동과 부인학사 동인이 자비암에서 구장운동(驱张运动) 진행 회의를 하였으며, 입구 문 회화나무 아래서 기념 사진을 남기기도 했다. 같은 해, 8월 16일, 이대쇠, 주은래, 등영초 등이 자비암에서 '오단체 회의(五团体会议)'를 열었다. 고군우(高君宇) 등 조기 공산당인들 역시 일찍이 이곳에서 여러 차례 비밀 활동을 전개했다.
1979년, 도연정 자비암은 베이징시 제2차 시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내부에는 "선구자의 분투 - 자비암 당의 조기혁명활동 테마전 (先驱者的奋斗——慈悲庵党的早期革命活动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西城区 太平街19号 陶然亭公园
* 고군우 열사묘 高君宇烈士墓
고군우 열사묘는 서성구 도연정 공원 (区陶然亭公园) 내에 위치하며, 대지면적은 1600㎡다.
고군우는 오사운동 (五四运动) 시에 베이징대학 학생회 책임자로, 1920년 등중하 (邓中夏)와 공동으로 베이징 대학 마르크스 학설연구회를 조직했다.
중국 공산당 베이징 조기 조직 성원의 하나로, 베이징 사회주의 청년단 조직건설에 참여하고, 첫 서기직을 맡았으며, 중국 사회주의 청년단의 제1회 중앙집행위윈회 위원, 중국공산당 제2회 중앙집행위 위원을 맡았다. 산서당 조직의 창건자이다.
1925년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도연정 호수가에 묻혔다.
주소: 西城区 太平街19号 陶然亭公园 내
*경보관 옛터 京报馆旧址
경보관 옛터 (京报馆旧址, 소표평 생가 邵飘萍故居)는 서성구 라마시대가 위염골목 30호, 32호에 위치하며, 문물 건축 면적은 약 820 평방미터다. 《징바오 京报》신문은 소표평이 1918년 10월에 창간하였으며, 경보관의 최초 위치는 전문외 삼안징 38호에 위치했다가, 후에 류리창 소사토원 골목으로 이전하였으며, 1920년 9월에 이곳 위치로 이전했다.
소표평이 창간한 <경보 京报>는 신문보도와 시상정치 평론을 중시하며, 반제 반군벌 기치를 선명히 하고, 마르크스 주의를 적극 전파하며, 당의 북방 혁명활동을 협력하여, 마르크스 주의 전파의 중요 진지가 되었다.
1925년, 소표평은 비밀리에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고, 1926년 4월 26일, 봉계 의해 사살되었다.
1984년, 경보관은 베이징시 제3차 시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내부에는 "경보와 경보관 테마전람", "백년 홍색간행물 테마전", "소표평 생애 사적 테마전" 이 있다.
주소 : 西城区骡马市大街魏染胡同 30号、32 号
* 베이징 이대쇠 옛집北京李大钊故居
베이징 이대쇠 생가는 서성구 문화골목 24호에 위치한다. 문물 건축 대지면적은 약 550 평방미터다. 1920 봄 부터 1924년 1월까지, 이대쇠와 가족이 석부마후택 35호 (石驸马后宅 35号, 현 文华胡同24 号) 북원락에서 4년 가까지 거주했으며, 이곳은 그가 고향 밖에서 가족과 가장 오래 생활한 장소이다.
이곳에서 거주 기간, 이대쇠는 마르크스 주의 전파, 중국 공산당 창건, 국민당 통일전선 건립을 위해, 국공합작을 공고히 발전시키고, 북방 혁명운동 지도에 거대한 공헌을 하였다. 이에 그를 20세기 초엽 중국 혁명 불씨의 전파자(播火者) 자로 부른다.
2013년, 이대쇠 옛집은 제7차 전국 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주소 : 西城区文华胡同 24 号
* 이대쇠 희생지 李大钊牺牲地旧址
이대쇠 희생지 터(李大钊牺牲地旧址, 京师看守所旧址)는 서성구 인민대회당 서로 2호에 위치한다.
명청 시기에 이곳은 형부 감옥이었으며, 북양 시기에 이곳은 경사 구치소 (京师看守所)였다.
1927년 4월, 봉계 군벌 장작림 (张作霖) 사령군경이 베이징에서 대량의 공산당원 및 기타 혁명가를 체포하였다.
4월 6일, 중국 공산당 주요 창시자의 하나인 이대쇠가 체포되었다.
4월 28일, 이대쇠 등 20명의 혁명가들이 조용히 교수대에 올라, 희생되었다.
주소 : 西城区人大会堂西路 2号
* 모택동 제2차 베이징 거주지 毛泽东第二次来京居住地旧址
마오쩌둥 제2차 베이징 거주지 터 (毛泽东第二次来京居住地旧址, 平民通讯社旧址)는 서성구 북장가 20호의 복우사(福佑寺) 내에 자리한다.
복우사는 청나라 순치 년간에 처음 건설되고, 건륭 년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했다. 대지 면적은 15000 ㎡, 건축 면적은 5894㎡ 다.
1919년 12월, 마오쩌둥이 인솔한 '군벌 장경요 제거 호남 대표단'이 베이징에 도착한 후에, 잠시 복우사에 머물렀으며, 1920년 4월 베이징을 떠날 때까지 있었다.
마오쩌둥은 이곳에서 평민 통신사 (平民通讯社)를 설립하고, 장경요 제거 투쟁을 전개했다.
통신사는 매일 베이징, 텐진, 상하이, 우한 등지에 신문 원고를 보내고, 투쟁 상황을 보고했다.
당시 베이징 <익세보 益世报>, 천진 <경진 타임즈 京津泰晤士报>, 상해 <신보 申报>, 무한 <대륙보 大陆报> 등 10여 개 신문 출판사가 모두 평민통신사의 기사를 활용하고, 사설 평론을 발표하며 지지하여, 빠르게 강력한 여론을 형성했다.
184년, 복우사는 베이징시 제3차 시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주소 : 西城区北长街 20 号福佑寺内
* 국립몽장학교 터 国立蒙藏学校旧址
국립몽장학교 옛터 (国立蒙藏学校旧址)는 서성구 소석호 골목 33호에 자리한다.
최초에는 명나라 초년의 상주회관 (常州会馆)이었으며, 청 말기에는 육공부(毓公府)로 불렸다.
1913년, 중화민국 몽장원이 이곳에 국립몽장학교를 설립하였으며, 대지 면적은 11880㎡, 그중 고건축 면적은 3200㎡였다.
1923년 가을. 이대쇠(李大钊)가 등중하(邓中夏), 조세담(赵世炎) 등을 몽장학교에 파견하여, 마르크스 주의를 전파하고, 혁명공작을 전개하였으며, 일부 학생들을 사회주의 청년단으로 가입시켰다.
1924년 하반기부터 시작하여, 몽장학교 중의 몽고족 혁명청년 우란다 (乌兰夫) 등이 중공당원으로 전환하였으며, 중국공산당 최초의 소수민족 지부인 중공몽장학교지부를 성립하였다.
국립 몽장학교는 몽고족 제1대 공산당인의 탄생지이며, 내몽고 혁명의 요람이라 부를 만 하다.
2006년, 국립 몽장학교 옛터는 제6차 전국 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주소 : 西城区小石虎胡同 33 号
* 베이징 여자고등사범학교 터 北京女子高等师范学校旧址
베이징 여자 고등사범학교 옛터 (北京女子高等师范学校旧址)는 서성구 신문화가 45호에 자리한다. 1909년에 건설되었으며, 원래 경사여자사범학당이었으며, 1919년에 베이징여자고등사범학교로 개명하였으며, 건물은 4개 동으로 조성되었고, 문물 건축면적은 6702㎡ 였다.
1920년부터 1926년, 이대쇠가 학교에 부임하고, 수업을 하는 동시에, 마르크스 주의를 전파하였다. 그의 지도와 영향 아래, 민족 운명에 관심을 가진 청년 학생들이 혁명의 길로 나섰는데, 그 예로는 중국공산당 첫 여성당원 무백영 (缪伯英), 북방 부여운동의 지도자 하지허(夏之栩), 삼일팔 참사 열사 류화진(刘和珍)과 양덕군(杨德群) 등이 있다.
당의 지지 하에 중공 서성지부가 성립되고, 무백영이 서기를 맡았다. 중공 베이징지구위 지도 하에, 학교의 진보학생들이 일련의 반제반군벌 애국활동에 참여하였다.
2006년, 경사여자사범학당 옛터는 제6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내부에는 "베이징 혁명운동 중의 여스승 테마전 (她们从这里出发——北京革命运动中的女高师专题展)이 마련되어 있다.
주소 : 西城区新文化街 45 号
[조양구]
* 마준 열사묘 马骏烈士墓
마쥔 열사묘 (马骏烈士墓)는 베이징 조양구 일단 공원 내에 위치하며, 대지면적은 90 ㎡, 한 측에는 기념관이 건설되어 있으며, 기념관 대지 면적은 200㎡다.
마쥔은 오사운동 시기의 유명한 정치 활동가로, 일찍이 저우언라이 (周恩来) 등고 공동으로 각오사 (觉悟社)를 발기 성립했다.
1920년, 마쥔은 중국사회주의 청년당에 가입하고, 이후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으며, 1922년 동북지구 최초의 중공당 조직을 창설했다.
1927년 중공 베이징시위 회복재건을 책임지고, 같은 해 12월, 반역자에 팔려 체포되었다.
1928년 2월, 베이징에서 봉계 군벌에 의해 사살되어, 의사했다.
1951년 베이징시 정부가 그 묘지를 새로 단장했다.
1987년 재차 묘지를 보수하였으며, 묘비는 덩잉차오 (邓颖超)가 썼다.
1997년, 묘 인근에 마쥔 열사 기념관을 건설했다.
기념관에는 "마쥔 생애사적 테마전람 (革命先驱 民族英烈——马骏生平事迹专题展)" 이 설치되었다.
주소 : 朝阳区日坛公园内
[해정구]
* 이대쇠 열사능원 李大钊烈士陵园
이대쇠 열사능원(李大钊烈士陵园)은 해정구 만안 묘지(万安公墓)내에 위치하며, 대지 면적은 2200㎡다.
1927년 이대쇠가 희생된 후에, 영구는 선무문 바깥 장춘사(长椿寺)에 잠시 안치되었다가, 5월 1일, 묘광각절사(妙光阁浙寺)로 이전되었다.
1933년 4월 23일, 중공 북평지하당조직 및 혁명단체가 공안묘지에서 이대쇠 열사 사회장을 거행했다.
1983년 10월, 능원이 건설된 수에, 이대쇠 부인 영구도 이곳으로 이전되어 왔다.
능원 내에는 1933년 이대쇠 열사 사회장 자리 원모습 및 당시 함께 매장된 이대쇠 열사 묘비가 보존되어, 이대쇠 열사를 기념하고 추모는 곳이자, 혁명전통 교육과 애국주의 교육을 진행하는 중요 장소가 되었다.
1984년, 이대쇠 열사 능원은 제3차 베이징시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내부에는 "이대쇠 생애사적 테마전람(不朽的功勋——李大钊生平事迹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 海淀区 旱河路万安里1号 万安公墓内
[풍대구]
* 장신점 이칠기념관 长辛店二七纪念馆
장신점 이칠기념관 (长辛店二七纪念馆)은 풍대구 장신점 화원에 위치한다. 경한철도 노동자 파업 (京汉铁路工人大罢工)을 기념하기 위해, 1983년 중화 전국 총공회, 철도부, 베이징시가 공동으로 장신점 이칠 기념관을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1986년에 건설되었다. 대지면적 6600㎡, 건축면적 2300㎡다.
1923년 2월 4일, 경한철로 노동자들이 중국공산당의 지도 하에, 경한철로 노동자대파업을 거행하였으며, 중국 혁명과 노동운동 역사상 한 편의 화려한 장을 썼다. 장신점 3000여 명의 철도 노동자들이 이 위대한 투쟁에 참가하였으며, 장신점은 경한철로 노동자 대파업의 주요 책략지와 발생지의 하나다.
기념관에는 "장신점과 중국 노동운동 테마전람 (北方的红星——长辛店与中国工人运动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中国共产党早期北京革命活动旧址: 长辛店二七纪念馆
주소 : 丰台区长辛店花园南里甲 15 号
* 이칠참사 장신점 二七惨案长辛店旧址
이칠 참사 장신점 옛터 (二七惨案长辛店旧址, 警察局驻地旧址)는 풍대구 장신점대가 196호에 위치하며, 원래는 명나라 시기에
화신묘 (火神庙)로, 건축 면적은 135㎡다.
경한절로 노동자 대파업 시기, 이곳은 완평현 장신점 경찰국 주둔지였다.
1923년 2월 4일, 장신점 철로 노동자들이 경한철로 노동자 대파업에 참가했다. 2월 6일 저녁, 노동조합 지도자 사문빈 (史文彬) 등이 반동 군경에 의해 이곳에 구류되었다. 2월 7일 오전, 반동 경찰이 이곳에서 노동자 규찰대 부대장 갈수귀(葛树贵) 등을 총살했다.
2013년, 장신점 이칠 대파업 유적터가 제7차 전국 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면서, 이칠참사 장신점 유적터도 그중 하나가 되었다.
주소 : 丰台区长辛店大街196 号
* 장신점 노동보습학교 长辛店劳动补习学校旧址
장신점 노동보습학교 옛터(长辛店劳动补习学校旧址)는 풍대구 장신점대가 중단로 동사당로 골목 1호에 위치하며, 건축 면적은 172 ㎡다.
1920년 베이징의 공산당 조기조직 성립 후에, 노동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등중하 (邓中夏) 등이 이곳에서 장신점 노동보습학교를 준비 설립했다.
노동보습학교는 1921년 1월 1일 개학식을 거행하였고, 1월 11일 정식 개학했다. 학교 교직원은 주로 베이징 공산당 조기 조직에서 파견하였다. 학교는 노동자 문화 수양을 높이고, 마르크스 주의 전파, 노동자 계급 자각 계몽, 노동자 간부 배양을 전개하면서, 중국공산당 조기 마르크스 주의와 중국 노동운동이 결합한 중요한 진지가 되었다.
장신점 노동보습학교의 영향으로, 각지 공산당 조기 조직에서 점차 노동자 위주의 야학을 개설했다. 1921년 5월 1일, 경한철도 장신점 철도 노동자회가 성립된 후에, 이곳이 사무장소가 되었다.
2013년, 장신점 이칠 대파업 옛터가 제7차 전국중점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면서, 장신점 노동보습학교 옛터도 함께 포함되었다.
주소 : 丰台区长辛店大街中段路东祠堂口胡同 1 号
* 장신점 프랑스 유학 고학 준비반 长辛店留法勤工俭学预备班旧址
장신점 프랑스 유학 근로수학 예비반 옛 터(长辛店留法勤工俭学预备班旧址)는 풍대구 장신점에 위치하며, 원래 경한철로국 객실 총관 주택(京汉铁路局火车房总管住宅) 주택이었으며, 유럽 고전주의 스타일의 건축으로, 대지 면적은 400㎡, 건축 면적은 265㎡다.
1918년, 채원배 (蔡元培) 등이 이곳에 프랑스 유학 고학 준비반인, 베이징 대학 부설 프랑스어 전문관 장신점 분관 공업과 (北京大学附设高等法文专修馆长辛店分馆工业科)를 창설하였으며, 이는 당시 국내 유일의 공장 근로수학의 예비반 이었다.
모택동은 1918년 11월 , 1919년 3월 두 차례 이곳 장신점에 와서, 근로 수학의 호남적 학생을 방문했다.
2013년, 장신점 이칠 대파업 유적터가 제7차 전국 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고, 장신점 프랑스 유학 근로 수학 예비반 유적터도 그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내부에는 테마 전람 (光辉印记——长辛店与留法勤工俭学运动专题展)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 : 丰台区长辛店德善里 18 号
* 장신점 공인구락부 터 长辛店工人俱乐部旧址
장신점 노동자 클럽 옛 터(长辛店工人俱乐部旧址) 는 풍대구 장신점 대가 174호에 위치하며, 건축 면적은 205㎡다.
이 유적은 민국시기에는 류가 대장간 (刘家铁铺) 이었으며, 1921년 10월, 장신점 철도 노동조합이 장신점 노동자 클럽을 위해 임대했여, 이곳으로 이전해 왔다.
1922년 4월 이곳에서 경한철도 총 노동조합 제1차 준비회의가 열렸다.
1922년 8월 장신점 철로 노동자 파업과 1923년 2월 장신점 노동자 참가 경한철도 노동자 대파업이 있을 때, 이곳은 중국 공산당 지도 파업 투쟁의 지휘부였다.
2013년 장신점 이칠대파업 유적터가 제7차 전국 중점문물 보호단위로 지정되었으며, 장신점 노동자 클럽 터도 그중 하나가 되었다.
주소 : 丰台区长辛店大街 174 号
* 장신점 이칠 열사묘 长辛店二七烈士墓
장신점 이칠열사묘 (长辛店二七烈士墓)는 풍대구 장신점 공원에 위치하며, 대지 면적은 65㎡다.
1923년 2월 1일, 경한철도 노동자들이 정주에서 경한철도 노동조합 본부 성립 대회를 거행했으며, 북양군벌 오패부 (吴佩孚)의 무력 진압을 맞았다. 군벌 폭행에 반항하기 위해, 2월 4일, 경한철도 전선의 노동자들이 동맹 파업을 거행했다.
2월 7일, 경한철도 전 노동자는 북걍군벌의 무장 진압에 처 했다.
장신점 노동자 갈수귀(葛树贵)、 오정(吴祯) 등이 장열히 희생되었다.
1966년 7월, 장신점 이칠 차량 공장은 이칠참사 중 희생된 두 열사를 기념하기 위해 묘를 짓고 비를 세웠다.
2013년 장신점 이칠대파업 유적터가 제7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고, 장신점 이칠열사묘도 그중 하나가 되었다.
주소 : 丰台区长辛店公园
* 이칠 차량공장 근대 건축 유적 二七机车厂近代建筑遗存
이칠 차량공장 근대건축 유적 (二七机车厂近代建筑遗)은 풍대구 양공장 1호 이칠 차량공장 내에 위치한다.
현재 프랑스식 건축 스타일 별장 6동, 벨기에 스타일 건축 별장 1동, 공장 1개가 남아 있으며, 총 건축 면적은 6300㎡다.
19001년, 로한철도 장신점 공장이 장신점 3합장에서 설립되었다.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장신점 프랑스유학 근로 고학 준비반 학생들이 이곳에서 실습을 했다.
모택동은 일찍이 두 차례 장신점을 방문했으며, 공장 차량을 둘러보고, 산업 노동자의 상황을 이해했다.
1921년 5월 5일, 장신점 철도 노동조합이 설립되고, 북방 노동운동 기초를 다졌다.
1922년 8월, 중공 장신점 지부가 설립되어, 경한철로 최초의 기층 조직이 되었다. 같은 달, 장신점 철도 노동자 파업이 일어났으며, 북방 철도 노동자 파업의 기점이 되었다.
1923년 2월 4일, 장신점 노동자는 이곳에서 경한철도 노동자 대파업에 참가했다.
2013년, 장신점 이칠대파업 유적터가 제7차 전국중점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고, 이칠 차량공장 근대 건축 유적도 그중 하나가 되었다.
주소 : 丰台区杨公庄 1 号(二七机车厂内)
* 장신점 노동자 야근 통속학교 터 长辛店工人夜班通俗学校旧址
장신점 노동자 야근 통속 학교 유적터(长辛店工人夜班通俗学校旧址)는 풍대구 장신점 대가 135호에 위치하며, 원래 명나라 시기 도교 낭낭궁(娘娘宫)이었으며, 건축 면적은 138㎡다.
오사운동 폭발 후에, 장신점 철로 노동자는 일찍이 이곳에서 구국10인단, 각계연합회를 조직하고, 애국학생을 성원했다.
1920년 초, 노동자 간부 사문빈(史文彬), 도선종(陶善琮) 등이 창설한 야근 통속 학교가 북장봉 골목에서 이곳으로 이전해 왔다.
1921년 5월 1일, 장신점 철로 노동자들이 이곳에서 5.1 메이데이 기념 대회를 거행했으며, 경한철도 장신점 절로 노동조합을 성립했다.
1922년 8월 , 장신점 철로 노동자 파업과 1923년 2월 장신점 노동자 참가 경한철도 노동자 대파업이 모두 이곳에서 집회를 열었다.
2013년 장신점 이칠대파업 유적터가 제7차 전국 중점문물보호단위로 발표되었고, 장신점 노동자 야근 통속학교 터도 그중에 하나가 되었다.
주소 : 丰台区长辛店大街135 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