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입하, 올해는 5월 6일

2019-05-04

입하(立夏)는 24절기 중의 7번째 절기로, 여름의 첫번째 절기에 해당하며, 여름철의 정식 시작을 표시한다. 태양이 황경 45도에 이를 때로, 양력으로 매년 5월 5일 전후에 해당한다.

기상학적 의미로의 입하는 하루 평균기온이 안정적으로 22도 이상일 때를 여름철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입하 절기 전후로 사실상 중국의 남방 지역은 여름철 기온과 비슷하며, 동북과 서북은 기온이 아직 여름 절기에는 미치지 못한다.

중국의 입하 풍습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절기 음식을 즐기기도 했다.    

* 여름 맞이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입하를 아주 중요시한다. 기재에 따르면 이날에 황제들이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교외로 가서 여름 맞이하는 행사를 참가해야 한다. 다들 주홍색 예복을 입고 같은 색의 옥패(玉佩)를 차야 한다. 뿐만 아니라 행사장에 있는 모든 것이 다 주홍색으로 꾸며져야 했으며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 계란 먹는다

중국 민간에서는 입하 시기에 계란을 먹는다는 풍습이 있다. 이는 사람이 입하 때에 계란을 먹는다면 힘이 생겼다는 뜻으로 풀리게 된다. 또한, 옛날 중국에는 아이들이 삶은 달걀이나 오리알에 그림을 그려두고 비닐에 담아 목에 걸리기도 한다.

* 체중을 재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점심을 먹은 후에 체중을 재는 습관이 있다. 목재로 만든 큰 저울이 마당에 걸려 있어 저울 고리에 의자 하나 걸려 사람들이 차례로 체중을 재다. 이때 현장 관리자는 덕담을 말한다.

입추(立秋) 때가 되면 사람들이 다시 체중을 재며 이는 옛날 사람들이 자기 건강 상황을 파악한 하나의 수단이기도 한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입하 시기에 체중을 재면 여름의 더위를 날릴 수 있다고 한다.

* 죽을 먹는다

고대 중국에서는 입하 시기에 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민간에서는 입하 때 죽을 먹으면 일년 동안 평안하게 잘 살 수 있다고 한다. 더운 여름에 죽을 먹는 것도 몸에 좋다. 또, 죽을 끓일 때 연잎을 넣고 같이 먹으면 더위를 날리는 효과가 있어 민간에서 인기가 많다.

* ‘입하 밥’ 먹는다

중국의 전통 풍습에 따라 입하 때 보통 우미밥, 완두콩 찹쌀밥 등 잡곡 밥을 먹는다. 원래 우미밥은 당나라 때부터 있던 중국의 민간 음식이다. 입하 시기에 남방 사람들이 팥, 검은 콩, 푸른 콩 등 오색 콩으로 만든 ‘오색밥’을 즐겨먹는다며 이는 ‘입하 밥’ 먹기도 한다.

* 제철 음식을 먹는다

중국 각지마다 입하 시기에 제철 음식을 먹으면서 건강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맛있고 신선한 체리, 죽순, 마늘잎, 광양 매실 등 제철 과일이나 채소를 먹고 신체 각 기관의 기능을 좋게 하고 건강을 유지하게 해 준다.

중국에서 입하에는 쑥을 이용한 음식을 즐겨 먹는다. 쌀가루와 쑥을 버무려서 시루에 쪄 먹는 떡 등이 사람들의 입맛을 돋우기도 한다.

* 밀가루 음식을 먹는다

중국에서 특히 북방지역은 밀이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 덕분에 밀가루 음식을 주로 먹는다. 이는 풍작을 경축하는 의미가 담아 있다고 한다. 이 시기에 먹는 음식이 보통 하병(夏饼,여름에 먹는 전), 면병(面饼,밀가루로 만든 전), 그리고 춘쥐안(春卷) 세 가지가 있다.

* 차를 마신다

중국에서 입하까지 채취한 찻잎으로 만든 차는 삼춘차(三春茶)라고 한다. 입하 후에 만든 차를 사춘(四春)이라 하는데 이를 통칭해 입하차(立夏茶)로 부른다. 중국 남방 지역,특히 강서,양주 사람들이 입하에는 차를 끓여 마신다.

北京旅游网韩文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