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청명절 유래와 주요 풍습

2019-04-03

청명절은 음력 24절기 중의 하나로, 음력 2월 중춘(仲春)과 음력 3월 늦봄(暮春)사이이며 동지(冬至)로부터 108일 후다. 보통 4월 5일정도에 해당한다. 

중국 한족전통의 청명절의 역사는 대략 주나라 때부터로, 지금부터 약 2천5백여 년 전의 역사를 가졌다. <역서(历书)>에 "춘분 후 15일을 청명이라 하니,이 시기 만물이 맑고 청명해진다." 하여 청명이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청명시기는 기온이 오르고 밭갈이와 파종에 적합한 시기다. 그런 탓에 청명전후로 파종을 하였다.

또 청명절은 선조에게 제사를 지내는 날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성묘를 가는 날이다.

2006년 5월 20일, 청명절은 국무원의 비준에 의해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중국 전통 24절기 가운데 절기이자 명절인 날은 청명뿐이다.

청명(淸明)은 중국의 중요한 전통 명절의 하나로 지금까지도 여전히 중화민족의 중요한 명절이다. 청명은 예전에 또한 삼월절(三月節)이라고도 불렸으며 20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양력 4월 5일을 전후로 청명인데 이는 24절기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 청명은 조상을 기념하는 명절이다.

주요한 의식 활동으로는 조상을 제사 지내고, 성묘를 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상사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에는 공경을 다하며 친지들과의 우의와 화목을 증진시키고 효도를 실천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진한(秦漢) 시기에 묘제(墓祭)는 이미 사람들이 중시하는 예속 활동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성묘는 원래 청명 전 날인 한식의 행사이다. 한식은 진문공이 개자추(介子推)를 추모한데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당나라 현종(玄宗)은 개원(開元) 20년에"한식에 성묘하라"는 조서를 천하에 반포하였다. 그 후로 한식과 청명이 가까워서 민간에서는 불을 피우지 않고 성묘하는 한식이 점점 청명과 합쳐지게 되었고 한식은 청명의 별칭이 되었다. 그후 또 청명 때의 풍속으로 변하여 청명에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만 먹게 된 것이다.

- 청명에는 가족들과 봄나들이가 인기.

그외에도 청명절(淸明節)의 풍습은 다양하면서도 흥미롭다. 불을 피우지 않고 성묘를 하는 것 외에도 답청(踏青), 그네타기, 축국(蹴鞠), 마구(馬球), 버드나무 꽂기 등 여러 풍속적인 체육 활동이 있다. 이것은 청명에 찬 음식을 먹고 불을 금하는데 찬 음식이 몸을 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다 함께 체육활동에 참가해 몸을 단련하는 위해서라고 한다.

이 명절에는 세상을 떠난 사람의 묘를 청소하면서 비통한 눈물을 흘리기도 하지만 또 답청을 즐기는 웃음소리가 나는 날이기도 한 풍부한 특색을 갖춘 명절이다.

현대에 들어서 청명을 맞이하는 풍습은 성묘 외에 답청(踏青), 즉 봄나들이가 인기다. 4월 초 새로운 봄을 느끼기에 적당한 시기라서 근교지구 나들이를 하기에 적당하다.

청명절의 문화적 의의는 각별하다. 청명절은 조상에 대한 사람들의 추모의 정을 만족시키고 친지들간의 정을 돈독히 한다.

北京旅游网韩文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