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강은 24절기 중 하나로, 가을의 마지막 절기다. 상강은 서리 상(霜)에 내릴 강(降) 자를 사용해 서리가 내린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의 절기로, 올해는 10월 23일 무렵이다.
중국에서는 상강부터 입동 사이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자연의 현상을 설명하기도 했다. 초후(初候)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는 때, 중후(中候)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는 때이며, 말후(末候)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들이 모두 땅속에 숨는 때라고 한다.
이 시기는 가을의 쾌청함이 계속되는 대신,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져 일교차가 커지므로 감기에 유의해야 한다.
상강에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고 국화도 활짝 핀다. 이에 상강에는 국화로 만든 음식을 먹어왔는데 국화전, 국화차, 국화주 등을 먹는다. 국화는 눈을 밝게 하고 뼈와 근육에 기운을 북돋아주며 기침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시기에 추수가 마무리되기 때문에 겨울 맞이를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제철 과일 감

가을을 하면 생각나는 과일이 바로 감이다.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상강 시기에 감을 먹는 풍습이 있다. 가을에서 겨울 사이가 제철인 감은 비타민C가 풍부해서 화절기 감기에 효과적인 과일이다.
감의 효능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중국 일부 지방 사람들이 상강 시기에 꼭 홍시를 먹어야 한다. 또 어떤 지역에서는 상강 날에 감을 먹으면 입술이 촉촉해지며 피부 수분을 잘 유지해준다.
등고

‘등고’는 상강 전후에 높은 곳에 올라서 하루를 즐기던 세시풍속인데 아침 저녁에는 기온이 낮아 등산가기에 몸에 좋지 않다.
가을철 등산 시에는 낮 기온이 따뜻하더라도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얇은 옷을 여러 겹 껴입는 등 일교차에 대비해 옷을 단단히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급변하는 온도와 갑작스러운 신체 활동에 척추나 관절이 놀라 통증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국화꽃 감상

국화는 중국에서 ‘장수화’라고 불리우며 유명하다. 가을에 대표적인 꽃이며 옛날 중국에서는 서리가 내리는 시기에 국화가 핀다는 말이 있다.
중국에서 상강 시기에 산에 올라 국화를 감상하는 풍습이 전해졌으며 사람들이 국화는 장수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이 시기에 중국 많은 지역에서 국화감상대회, 국화전시전을 열리며 공원에 가서 국화를 감상하며 나들이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무를 뽑다
중국 산동성에는 ‘처서에 수수, 백로에 벼,상강에는 무’라는 속담이 있어 현지 사람들이 상강 시기에 무를 즐겨먹는다.
무는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맛이 가장 좋다. 무는 음식의 소화흡수를 촉진한다. 식물성 섬유도 풍부해 장내노폐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는데 무 껍질에는 무 속의 2배가량 많다.
오리 보양식

중국 민남과 대만 지역에서는 상강 무렵에 오리를 먹는 풍습이 전해졌다. 이 때가 되면 민남에서는 오리를 장사하는 사람이 많이 판다.
오리가 몸에 좋다하고 더불어 레몬, 연잎,호두 등과 같이 먹으면 맛도 좋고 건강에 유리하다. 중국에서는 베이징 카오야, 난징 옌쑤이야(盐水鸭), 오리선지탕(鸭血粉丝汤)을 비롯한 오리 보양 음식이 다양하고 맛이 좋다.
소고기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상강 시절에 소고기를 먹는 풍습이 있다. 예를 들면, 광시위린 사람들이 이 날 아침에 소고기 흐어펀(河粉),점심이나 저녁엔 소고기무 볶음요리를 먹는다. 소고기 외에 양고기를 먹는 습관도 있어 중국에서 이를 ‘가을 살을 찌워 놓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