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 정(鼎)은 왕권을 상징했다. 중국어에서 정자가 들어가는 단어들은 보통 왕권과 관련된다. 예를들어 “문정(問鼎)”은 정권 탈취를 노린다는 뜻이고 “일언구정(一言九鼎)”은 결정적 역할을 하는 말을 가리킨다.
사모무방정은 1937년 하남(河南) 안양(安陽)에서 발견된 귀중한 문화재로 중국 상나라 말기의 유물이며 30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이 방정은 세계적으로 발견된 최대의 청동기로 중국국가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정은 원시사회에서 음식을 끓일 때 사용하던 취사 도구였다. 당시 정은 흙을 구워 만들었으며 상주(商周) 시기에 이르러 중국의 청동기 주조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청동으로 정을 만들었다. 당시 정은 더 이상 백성들이 사용하는 취사도구가 아니라 고귀한 신분과 왕권을 상징하는 제사도구가 됐다.
사모무방정은 상왕 문정(文丁)이 어머니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주조한 것이다. “사모무”는 원래 정 내벽에 적힌 글이었다. 고고학자의 해석에 따르면 “사(司)”는 제사의 의미이고 “모무(母戊)”는 상왕 문정의 어머니를 가리킨다. 나중에 사모무는 정의 이름으로 정해졌다.
사모무방정의 높이는 1.3m이고 길이가 1.10m, 너비가 0.78m이며 무게는 832.84kg이다. 당시 1000kg이 넘는 금속 재료가 필요했고 200~300명의 장인이 함께 해야 완성할 수 있었다. 사모무방정은 모양이 생동하고 웅장하며 제작공예 또한 정교하다. 정의 하단에는 네 발이 기둥처럼 정을 지탱해 주고 있으며 정 표면에는 풍년과 상서로움을 표현하는 각종 정교한 무늬가 새겨져 있다. 사모무방정은 상주시기 청동 주조 기술의 최고 성과를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번역/편집: 조옥단
korean@cri.com.cn